오늘은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숫자와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숫자는 정수와 실수가 있고 그 숫자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연산자는 사칙연산과, 나머지 연산자 , 소수점 절삭 연산자, 제곱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.

 

 

정수

먼저 정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정수는 음수와 0 그리고 양수로 구성된 숫자를 의미합니다.

예를들어 1,2,3 등 과 같은 양수와 0, 그리고 -1, -2, -3 등 같은 음수를 의미합니다.

 

파이썬에서 정수를 계산할 때는 그냥 숫자를 써서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

예를들어 3 + 4 - 2 이런식으로 써놓고 코드를 실행시키면 계산이 됩니다.

 

또한 변수에 계산식을 넣는 방법이 있습니다.

예를들어 x = 3 + 4 - 2

              print(x)

이런식으로 변수 x에 계산식을 넣고 변수 x를 프린트하면 정수가 계산되어 나옵니다.

 

 

 

실수

다음은 실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실수는 소수점을 가진 숫자를 의미합니다.

예를들어 -36.5, 31.5 ,  100.2 이런 숫자들을 의미합니다.

 

여기서 함수를 이용해서 특정 변수가 정수인지 실수 인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변수에 특정 값을 넣고

type() 함수를 쓰면 정수인지 실수인지 나옵니다.

예를들어 a = 300

               type(a)

이렇게 쓰면 정수라면 int 라고 나오고 실수라면 float 이라고 결과값이 나옵니다

 

 

연산자

다음은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먼저 사칙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사칙 연산자는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 이 있습니다.

예를들어 x = 1 + 2 - 3

              print(x)

이런식으로 + - * / 사칙 연산자를 사용해서 숫자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다음으로 나머지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나머지 연산자는 %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나머지 연산자 %는 어떤수를 나눈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 입니다.

예를들어 a = 12%5

              print(a)

이런식으로 썼을 때 값은 2가 나옵니다.

12를 5로 나눈 나머지 값이 2기 때문에 결과가 2가 나옵니다.

 

다음으로 소수점 절삭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소수점 절삭 연산자는 // 입니다.

나숫셈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를 절삭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.

예를들어 15/4 를 썼을 때 

결과가 3.75

이렇게 나오고

나머지 연산자를 쓴다면

15//4

3으로 결과가 나옵니다. 

 

 

마지막으로 거듭제곱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

거듭제곱 연산자는 **를 사용합니다.

**는 어떤 수의 거듭제곱을 계산하는데 사용됩니다.

예를들어 3**3 을 쓴다면

3의 3제곱을 나타내기 때문에 27의 결과가 나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마무리

이상 숫자와 연산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
 

 

관련글 더보기

2022.07.05 - [파이썬(Python)] - 변수란 무엇인가?

 

변수란 무엇인가?

오늘은 파이썬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변수란? 먼저 파이썬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변수는 숫자나 문자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박스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. 예를들어 X = 1 , Y =

lotto4989.tistory.com

 

+ Recent posts